목록분류 전체보기 (60)
플루시오
가장 많이 일어나는 준말의 형태는 단어의 중심 머리글자를 따오는 형 식이다. 예(35다) ‘Closed’와 ‘Reduction’의 머릿글자 ‘C’와 ‘R’을 잘라내 어 간략하게 ‘C/R’로 사용한다. 예(35가) ‘Arterio-Veneous shunt’ 경우 에는 의미의 중심을 ‘Shunt(한 혈액에서 다른 혈관으로 돌리다)’에 두고 앞의 단어의 형태에서 머리글자를 가위질하여 합성시킨다. ‘A-V Shunt (혈액투석을 위해 동정맥루를 형성하는 수술)’라는 용어의 준말현상이다. 영어의 구(句)의 형태는 기본 단어적 형태의 모습에서 가위질 축약이 일 어나 머리글자를 따오는 형식으로 준말화가 일어난다. (36) 금융관련 용어40) ᄀ. 금융결제원 ᄂ. 공정거래법 ᄃ. 금융실명제 ᄅ. 평가절하 ᄆ. 차용증서..
(30) 『언어학사전』37) 전문용어란 특정 학문이나 직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어휘로, 일반적이 고 기초적인 과학적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들과는 달리 더욱 세분화, 전문화된 과학적 개념을 나타내면서 극히 좁은 범위의 전문가들 사 이에서만 쓰이는 용어이다. (31) 『국어정보학 입문』38) 전문용어란 특정한 학문이나 직업 분야에서 그 분야의 전문적인 지 식, 기술 등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용어인데, 이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화학 분야의 ‘염화나트륨’이나 언어학의 ’형태소’처럼 별도의 전문용어가 사용되는 경우이며, 다른 하나는 “IMF, 중화(中 和)”처럼 일반어로 사용되느냐, 전문용어로 사용되느냐 나아가 어느 분야에서 사용되느냐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지는 경우이다. 전문용어란, 특정 분야와 관련한 ..
기억될 수 있는 어휘를 찾게 되고, 이러한 상품의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 해서는 음절적인 것도 중요하지만 그 음절에 들어있는 뜻이 있어야 소비 자의 기억을 더욱 자극하고 상기시킬 수 있다는 소비심리학적 요인으로 구(句)의 준말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심리적 요인으로 상호, 상표 속 준말은 한 사물의 이름이라는 형태적 목적으로 발화하는 상징적 의미로 본다. 3.1.2.3 상호, 상표속의 준말의 기능 상호, 상표속의 준말은 기업, 상품, 개인 등 어떠한 대상에 언어의 의미 를 깊이 새겨 하나의 고유명사화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때 상호 및 상 표는 언어의 경제적 가치를 생성하게 된다. 한 회사의 상호, 상표의 이름 이 갖는 의미와 무게, 또한 언어의 상징적 이미지화로 인한 경제적 산출 가치는 언어의 사회적..
(24) 상호와 상표 속의 준말 ᄀ. (베르베르의 슬픔) 샤롯데 ⟶ 롯데 ᄂ. 인터넷 테마파크 ⟶ 인터파크 ᄃ.해가가득찬들녘 ⟶ 해찬들 ᄅ. The Best Jeans ⟶ T. B. J ᄆ. Korea Telecom ⟶ KT ᄇ. E-media Compass ᄉ. Lucky Goldstar ⟶ LG ᄋ. (독일어의 집) HAUS + (중심) ZENTRUM ⟶ Hauzen ⟶ Empas (인터넷 요술 나침반) 위 예(24)는 상호와 상표의 의미적 발화는 언중들에게 기업과 상품의 이미지를 알리려는 목적현상이다. 이러한 상호, 상표의 영향은 간략하면 서도 의미의 상징성이 강한 본딧말의 준말화가 나타난다. 즉 이러한 상 호, 상표는 속 준말은 기업이 언중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기업과 상품의 이미지이며, 곧 언중..
A : 왜? 면접본게 잘 안됐어? B : 응, 다음기회에. A : 휴, 기운내! 다 잘될꺼야! 오늘은 내가 쏜다 가자. 예 (20)의 상황은 유행어 속 준말의 담화 현상이다. 그러나 이때 준말 의 형태를 살펴보면, A는 “나 오늘 명동에서 진정한 훈남을 봤어”의 의미 는 “나 오늘 명동에서 진정으로 훈훈하게 잘생긴 남자를 봤어”의 문장으 로 고쳐 표현할 수 있다. A는 오늘 명동에서 잘생긴 남자를 발견하고는 마음이 흐뭇했다는 자신의 기분을 표현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B는 곧 이어 자신의 기분이 어떠했다는 것을 표현한다. B의 대답 “그래, 난 온 종일 안습이야”는 “그래, 난 온 종일 눈에 눈물이 스며 나올듯해” B의 기 분은 오늘 하루 매우 슬픈 날이라는 의미적 표현이 일어났다. 이 A와 B 의 관..
의 경우 본딧말 ‘짜증나네’에서 /즈/ 탈락한 음운 줄이기가 나타났다. 예 (16ᄅ)‘명예퇴직’ 은 ‘명예’와 ‘퇴직’으로 나뉠 수 있는 합성명사로서, 머리 글자만 따오는 ‘명’과 ‘퇴’가 합성된 ‘명퇴’라는 유행어로 준말이 형성되었 다. 유행어의 가장 큰 특징은 단어 형태에서의 준말화 보다는 구(句)형태에 서 어형변화가 자주 일어난다. 이는 단어로 형성된 형태의 확산보다는 2 어절 이상의 구(句)형태의 의미의 확산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이다. 유행 어의 특징은 자신의 개성을 나타내는 것과 사회의 현상을 풍자한 의미를 목적으로 나타난다. 이때 사회의 현상이나 자신의 개성을 독특한 음운적 특징과 함축된 의미의 축약현상으로 찾는다. (17) 「준말의 형성 조건」32) “단어나 통사론적, 또는 심리적인 통합 관..
는 것이다. 즉, 경제 불황속에서 자주 쓰이던 유행어로 ‘명퇴’라는 말을 사용하였다. ‘명퇴’는 ‘명예퇴직’이라는 말이 자주 사용하게 되면서 ‘명예 ∙ 퇴직’의 머리글자만을 이용하여 ‘명퇴’로 준말이 되었다. 둘째, 어떤 말의 머리글자만 따서 일종의 부호처럼 간편하게 쓰는 말이 라고 정의된다. 이때, 준말의 어형이 짧아지면서 다른 말과 동음충돌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바로 이 점에서 언어의 말장난인 유희성이 나타난다. ‘이태백’이라는 유행어는 시인 ‘이태백’과 음운충돌이 발생한다. 하지만 그 뜻은 ‘이십대 태반이 백수’라는 구에서 머리글자만 따서 만들 어진 유행어다. 시인‘이태백’의 풍류적인 모습과 유사하지만 세태를 벗어 나지 못하는 이십대들의 답답한 현실을 풍자한 것 이다. 이러한 유행어를 뽑아..
하여 대중을 위한 정보와 유희적 메시지가 만들어 지는 것이다. 대중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그들을 위한 대중문화가 형성되면서, 방대한 매스 미디 어의 형성과 정보의 전달은 우리 사회의 대중문화의 형성에 급속한 발전 과 문화를 제공해 주었다. 이제 현대 사회는 대중들에 의한 대중을 위한 사회가 되었으며, 문화 형성의 초점을 대중문화에 맞추고 있다. 본딧말의 사회영향에 따른 변형 요인으로 대중문화와 준말의 현상에서 살펴본다. 언어의 사회성은 언어의 대중성에서 가장 능동적이며, 시간적 에너지 활용 면에서 볼 때 준말의 어형은 짧으면 짧을수록 좋다. 이것은 시간과 에너지의 경제적 요인으로 나타나는 사회경제성이다. 그렇다면 언 어와 사회의 가장 보편적인 문화형성에서 대중문화는 어떻게 연결될까? 그것은 언어의 유희적 ..
이는 합성어로서 머리글자만 따오는 것에서 형성된 준말이다. (6) 입학시험:(입학+시험)-/학∙험/=입시 자음모음:(자음+모음) -/음/=자모 백색인종 : (백색 + 인종) - /색 ∙ 종/ = 백인 다. 꼬리글자말18) 준말에는, 머리글자말은 그 수효가 많지만 낱말의 끝부분만을 따서 만 든 꼬리글자말은 그리 많지 않다. (7) (꽃게+간장)-/꽃∙간/=게장 라. 뒤섞임말19) 영어에서는 ‘매연 섞인 안개’의 뜻을 지닌 ‘smog’는 smoke의 앞부분과 fog의 뒷부분을 결합시켜 만든 말인데 뒤섞임말이란 이와 같이 하나의 낱 말 속에 두 개의 뜻이 녹아 붙어 있는 말을 일컫는다. 뒤섞임말은 두 낱 말의 결합에 있어서 머리글자말과 꼬리글자말을 제외한 결합형을 말하는 데 이는 소리와 뜻으로 관련된 두 낱말..
(1)ᄂ며느리+아기(며느리 /ᅵ/가탈락)=며늘아기 (메추리 - /ᅵ/탈락) + 아기 ⤍ ( 남은 /ᄅ/ + ‘아’ 결합) = 메추라기 (까투리 - /ᅵ/탈락) + 아기 ⤍ ( 남은 /ᄅ/ + ‘아’ 결합) = 까투라기 (1ᄃ)은 본딧말이라 생각되는 ‘버찌, 새앙쥐’에서 음운이 탈락되어 ‘벚, 생쥐’가 된 것 이다. (1) ᄃ 버찌 - /ᅵ/ = 벚 새앙쥐 - /아/ = 생쥐 (1ᄅ)은 ‘꽃봉오리, 산봉우리’ 의 첫음절 ‘꽃’, ‘산’이 탈락되어 형성된 것 이고 , (1ᄆ)은 ‘희극 ∙ 비극’의 ‘극’과 ‘입금 ∙ 출금’가운데 ‘금’이 탈락 되어 형성된 것이다. (1) ᄅ 꽃봉오리 - 꽃 = 봉오리 산봉우리 - 산 = 봉우리 (1) ᄆ 희극 ∙ 비극 - 극 = 희비극 입금 ∙ 출금 - 금 = 입출금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