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루시오
현대 국어의 본딧말과 변이 과정 본문
I. 서 론 1.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현대 국어를 대상으로 본딧말에서 준말로의 변이 과정에서 나타나는 준말의 정의와, 사회적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준말의 사용은 사회언어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말의 간략화는 의사소통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식별 가능한 범위 내에 서 긴 말을 짧게 하려고 하는 의도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이처럼 준말은 언어사용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줄이기 위하여 말의 형태를 짧게 하는 것이며, 준말의 형성조건은 사회에서 빈번하게 사용되 는 단어나 문장이여야 한다. 어형이 짧거나, 길어도 그다지 자주 사용되 지 않는 것은 줄일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자주 사용되는 준말에 대 한 연구는 이질적이고 다양한 언어 현상을 포함하고 있어 체계화하기가 쉽지 않다. 준말의 형성의 기제 또한 투명하지 않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준말에 대한 개념 설정과 그 범위를 명확히 한다. 준말 은 줄어든 결과 형이 단어의 모습으로 어휘화된 관점에서 준말의 유형을 분류한다. 이를 근거로 사회적 영향에 의한 준말의 발화 현상적 특징을 제시한다. 언어는 의사소통의 목적을 가진 사회적 약속으로, 단순한 기호 체계가 아니라 사회적인 특정한 약속이다. 그러므로 언어는 사회적 약속인 규칙 에 의해 제약 받을 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 제반 요인의 지배도 받는 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언어사용에 작용하는 사회⋅문화적 영향 속에 나타난 준말 현상과 발화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2 연구범위 및 방법 본고에서는 준말의 정의를 알아보고 준말의 형성과정과 유형, 사회문화 적 영향에 따른 분석을 통해 준말의 활용과 사회와의 관계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사회 현상에서 나타나 있는 언어의 발화적 현상 및 준말의 형태와 변화에 나타나는 사회언어학적 영향을 살펴본다. -1- 준말의 사회 언어적 자료로는 매스미디어의 자료를 활용하기로 한다. 방송 드라마 대본, 청소년과 대학생 집단의 언어, 전문용어, 신문 머리글, 광고 콘티에 나타난 대사, 인터넷 통신망에 나타나는 게시판 글 및 대화 를 이용하여 사회현상에서 나타나 있는 준말의 모습을 살펴본다. 또한 준 말과 사회현상의 관계 및 언어 심리적인 관계로 발화되는 준말의 특징을 살펴본다. 아래는 가장 일반적으로 거론되는 언어의 특징이다. <언어의 특징> ᄀ. 언어의 기호성 ᄂ. 언어의미의 함축성 ᄃ. 언어의 경제성 ᄅ. 언어의 풍자성 ᄆ. 언어의 집단성 위의 <언어의 특징>에 따른 준말의 사회적 발화 모습과, 준말현상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언어는 사회적 필요성과, 편리한 의미전달에 기본적인 목표를 둔다. 때 문에 언중은 언어의 기호적 약속을 형성하게 되며, 언어의 기호성에는 의 미의 함축이 나타난다. 이때 언어의 기본적인 변형 요인을 언어의 경제성 에서 찾을 수 있다. 사회구성원 간의 간략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의 목적은 언어를 간략화 하는 변이를 유발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것이 언어의 경제성으로, 언어의 발화에 있어 음운의 축약 및 단어 및 구(句)의 축약 으로 간편하고 간략하게 변형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준말 또한 발화 현 장에서 언어 경제성의 특징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딧말은 사회언어 속 에서 언어의 경제성과 함축성 특징을 가진 준말로 변형된다. 이러한 언어 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회언어 속에 나타나는 준말의 형성을 살피는 것이 이 연구의 첫 번째 연구 범위이다. 또한 언어의 발화 형태가 단어의 형성과 구(句)의 형태로 의사소통이 이루어짐을 기본으로 보고 본 연구의 준말의 발화 범위를 단어와 구(句) 의 형태 속에서 본다. 사회언어 속에서 준말은 통사론적인 문장 구조에서 발화되는 목적과 함축된 의미 정보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 -2- 다. 두 번째 연구 범위는 단어 및 구의 형태에서 나타나는 준말의 변화형태 로 한다. 준말의 형성과 발화적 의미는 자주 인용되거나 사용되는 본딧말에 한하 여 이루어진다. 이 현상은 오랜 언어의 권력적 구도에서 일어나는 언어의 구조조정적인 체계변화이다. 언어는 자연발생적인 언어가 있지만 현대의 언어는 자연 발생보다는 기존 언어의 변이과정에서 생겨난다. 이러한 변 이과정에서 언어는 축약, 융합, 합성, 탈락 등으로 변이되는 현상들이 사 회언어 속에서 자주 일어난다. 이러한 언어 형태의 변이에 영향을 주는 사회현상이 준말 형성의 기본 배경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 속 준말의 발화를 세 번째 범위로 한다. 1.3 선행연구 검토 및 문제제기 준말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국어 문법에 형태음운론과 통사론의 측면 에 집중되어 왔고, 준말의 형성에 나타난 축약, 탈락, 융합, 합성의 현상 에 의한 준말 형성이 연구되었다. 특히 준말의 개념에 대한 연구와 범위 가 점차 확대 되어 나타난다. 강병학은「현대 국어 준말에 관한 연구 : 어휘화에 따른 공시적 존재 양상을 중심으로」1)에서 준말의 개념을 본딧말이라 생각되는 말이 공시 적으로 실존하여 개념의 차이 없이 교체해 쓰이며, 불규칙적이고 수의적 인 음절수 줄이기의 관계에 있는 것을 한정하였다. 준말의 형태는 줄어든 결과 형이 단어의 양상을 띠는 것을 중심으로 하여 준말을 꼴준말, 뜻바 뀜준말, 양면준말의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준말의 형태는 공시적 인 조어법에서 뜻바뀜준말이 대체로 종래의 형태소복합법 안에서 처리되 는 데 반해, 꼴준말은 별도의 조어법인 자름법, 줄임법으로 처리되며, 양 면준말은 이런 두 가지 경우로 나눠서 처리하였다. 정희창은「국어 준말의 연구 : 유형과 제약을 중심으로」2)에서 본딧말 에서 준말이 형성될 때는 일정한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먼저 음절이 삭 감되어야 하므로 본딧말은 2음절 이상이어야 하고 공시적으로 존재하거 1) 강병학, 「현대국어 준말에 관한 연구 : 어휘화에 따른 공시적 존재 양상을 중심으로」, 연세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2) 정희창, 「국어 준말의 연구 : 유형과 제약을 중심으로」, 성균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딧말 탈락 형성과 실존형 추정 현실 (0) | 2021.11.25 |
---|---|
준말 형성 과정과 명령 활용 (0) | 2021.11.25 |
무의식의 저편과 존재 인식 그리고 상처 (0) | 2021.11.24 |
학자와 시대의 변형 그리고 정서의 존재 (0) | 2021.11.24 |
국어사전의 시어와 정서적 일차적 의미 (0) | 2021.11.24 |